ABOUT US
SOLUTION
IR
PR
CAREERS
KOR
EN
메뉴보기
ABOUT US
회사소개
VISION 2025
연혁
글로벌 사업장
CONTACT
SOLUTION
TOLL
ITS
철도신호
VPSD
MaaS
AFC
공항
통신
주요구축사례
IR
재무정보
공시
IR자료실
공지사항
PR
보도 및 홍보자료
자료실
CAREERS
팀문화
인재상
채용정보
복지제도
메뉴닫기
PR
에스트래픽의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해드립니다
홈으로
PR
ABOUT US
SOLUTION
IR
PR
CAREERS
보도 및 홍보자료
자료실
보도 및 홍보자료
[단독]서울지하철, 태그 없이 탄다…내년부터 전면 시행
2024-03-18
[단독]서울지하철, 태그 없이 탄다…내년부터 전면 시행
장진복, 박재홍 기자 입력
2024-03-17 17:12
업데이트
2024-03-17 17:12
글씨 크기 조절
기지국 위치정보 이용 세계 첫 도입
교통약자 편의, 혼잡도 개선에 도움
내년 하반기부터 서울 지하철을 타는 승객들은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런 내용의 비접촉 결제(태그리스) 결제시스템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 전면 도입되는 건 전 세계에서 처음이다.
17일 서울시와 공사에 따르면 태그리스는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대중교통 이용 시 요금이 자동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하이패스를 단 자동차가 고속도로를 달리다 톨게이트에서 멈추지 않고 지나가는 것과 유사하다.현재 우이신설선, 인천지하철 주안·작전역 등 경전철이나 지하철 일부 구간에서 태그리스 시스템이 시범 운영되고 있다. 여태까지 도입된 시스템은 모바일 티머니 등 신호를 블루투스(BLE)로 수신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으로는 제한된 지역이나 노선 등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게 공사 측의 설명이다.
반면 공사가 자체 개발 중인 시스템은 기존 블루투스 방식에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이동경로 측위기술을 더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공사 관계자는 “통신사 기지국 위치 정보와 연동하면 승객의 승·하차, 환승, 중간 경로변경 등 실제 이동경로 정보를 얻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며 “세계 최초의 시도”라고 설명했다.
공사는 시스템 구축의 첫 단계로 현재 근거리무선통신 기술 실증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공사 직원 등 1만 7000여명이 태그리스 기능을 담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증 역사에서 승·하차를 하며 데이터 처리 속도 및 정확도 등을 분석한다. 실증 역사는 2호선 용답역과 3호선 옥수역, 4호선 사당역, 5호선 답십리역 등이
다.
지난해 10월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 열차가 들어서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통신사 기지국 연동 위치 측위 기
술을 실증하는 2단계에 돌입한다. 내년도 3단계 서울 지하철 1~8호선 및 4단계 수도권 대중교통 확대 시행을 목표로 잡았다. 공사 관계자는 “테스팅 기간을 거쳐 내년에 지하철 확대 시행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며 “최종적으로는 수도권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체계로 범위를 넓힌다는 구상”이라고 강조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 입장에서 태그리스가 도입되면 대중교통 이용 편의가 개선된다. 공사가 향후 내놓을 교통 앱을 켜고 태그리스 개찰구를 통과하면 자동 결제가 된다. 이에 영유아를 동반하거나 양손에 무거운 짐을 든 승객, 휠체어를 탄 승객 등이 멈춰서 교통카드나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아도 된다.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 승하차 대기시간과 혼잡도도 줄어들 것으로 분석된다. 공사는 태그리스를 이용해 개찰구를 통과할 경우 한 명당 0.5초를 절감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 한 해 서울 지하철 하차 인원 가운데 모바일 이용자가 5억 8164만 8623명이라고 추정했을 때, 총 8만 785시간을 아낄 수 있는 셈이다.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society/2024/03/17/20240317500085&wlog_tag3=naver
이전글
에스트래픽 아메리카, LA메트로와 1500만달러 규모 추가 계약 체결
목록
다음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으로 미래 철도 패러다임 바꾼다